
2023년 12월 25일 서울 도봉구 방학동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민 2명이 숨지고 30여 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모두가 행복을 나누어야 할 크리스마스가 순식간에 악몽으로 바뀐 것이다.
특히 불길이 위층으로 번지지 않았음에도 한 주민이 계단을 통해 대피하다가 연기를 과다하게 흡입해 결국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이 사고는 “화재가 나면 무조건 밖으로 나가야 한다”는 기존의 통념이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를 계기로 소방청은 화재 시 행동 원칙을 '무조건 대피'에서 '살펴서 대피'로 전환하였다.
첫째, 자기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면 엘리베이터를 피하고 낮은 자세로 계단을 이용해 대피해야 한다. 만약 대피가 어렵다면 경량 칸막이를 통해 옆 세대로 이동하거나, 세대 내 대피공간으로 피신해 구조를 기다리는 방법이 있다. 피난설비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둘째, 다른 세대에서 불이 났을 경우에는 불길이나 연기가 심하지 않다면 대피해야 하지만, 대피가 불가능하다면 119에 현재 위치와 상황을 알리고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연기가 집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면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유입을 막고,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화재는 불길 자체보다 연기에 의한 질식이 더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평소 '살펴서 대피'의 원칙을 생활 속에서 익히고, 실제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정기적인 피난 훈련과 안전의식 생활화가 우리 모두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첫걸음임을 명심해야 한다.